본문 바로가기

수학

1-2. Fourier Series 푸리에 급수 유도 (오일러 공식)

반응형

저번글을 읽지 않으셨다면 읽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Euler's Formula

이번글에서는 저번글에서 구했던 푸리에 급수를 오일러 공식을 이용하여 복소 표현으로 나타내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오일러 공식이 뭔지 부터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일러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iθ=cosθ+isinθ
이 걸 복소평면(x축 y축 대신 실수축 허수축으로 이루어진 좌표평면)에 표현해 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렇기에 eiθ하면 단위원과 각이 θ인 직각삼각형을 떠올리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면 오일러 공식을 이용하여 삼각함수를 표현하여 봅시다.
eiθ=cosθ+isinθ 이고 eiθ=cosθisinθ 이기 때문에 두식을 더하고 면 아래와 같아집니다.
eiθ+eiθ=2cosθ
eiθeiθ=2isinθ
따라서 cosθsinθ는 아래와 같이 표현 할 수 있습니다.
cosθ=eiθ+eiθ2
sinθ=eiθeiθ2i

오일러 공식을 이용해 푸리에 급수 표현하기

a0=1T0Tf(t)dtan=2T0Tf(t)cos(nwt)dtbn=2T0Tf(t)sin(nwt)dt

이제 오일러 공식을 사용하여 위식을 표현해 봅시다.
cos(nwt)=einwt+einwt2sin(nwt)=einwteinwt2i
이므로
a0=1T0Tf(t)dtan=2T0Tf(t)einwt+einwt2dtbn=2T0Tf(t)einwteinwt2idt
정리하면
a0=1T0Tf(t)dtan=1T0Tf(t)(einwt+einwt)dtbn=1Ti0Tf(t)(einwteinwt)dt
위와 같습니다.
아래에서 사용할 식을 미리 정리해봅시다.
anbni=1T0Tf(t)(2einwt)dtanbni2=1T0Tf(t)(einwt)dt=Anan+bni=1T0Tf(t)(2einwt)dtan+bni2=1T0Tf(t)(einwt)dt=Bn

이제 오일러 공식과 위의 식을 푸리에 급수에 대입하여 정리하여 봅시다.

먼저 오일러 공식을 이용하여 정리하여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f(t)=a0+n=1{ancos(nwt)+bnsin(nwt)}=a0+n=1{an2(einwt+einwt)+bn2i(einwteinwt)}=a0+n=1{an2(einwt+einwt)bni2(einwteinwt)}=a0+n=1{anbni2(einwt)an+bni2(einwt)}

여기에 위의 식을 대입합시다.
f(t)=a0+n=1{AneinwtBneinwt}

그다음 시그마를 분리하면고 n을 -n으로 바꿔주면 아래와 같아집니다.
f(t)=a0+n=1Aneinwtn=1Bneinwt=a0+n=1Aneinwtn=1Bneinwt
이제 a0,An,Bn을 대입하여 정리합시다.
f(t)=1T0Tf(t)dt+n=1einwt1T0Tf(t)(einwt)dtn=1einwt1T0Tf(t)(einwt)dt=2eiwt01T0Tf(t)dt+n=1einwt1T0Tf(t)(einwt)dtn=1einwt1T0Tf(t)(einwt)dt=n={0Tf(t)(einwt)dt}einwt

따라서 최종 적인 푸리에 급수의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f(t)=n=CneinwtCn=0Tf(t)(einwt)dt

references

  • 푸리에 급수 (Fourier series) 쉽게 알기 :: Atom's Space
  • fourier-serie :: khanacademy
반응형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